본문 바로가기

IT코딩공부!

#21 HTML(이미지,동영상, list(목록표현), margin, padding, 색상)!!

오늘의 노래!!! 

 
Teddy Bear
아티스트
STAYC(스테이씨)
앨범
Teddy Bear
발매일
2023.02.14

[0] 먼저 경로 지정해줘야한다(이미지, 오디오, 비디오)

 <!--
        src : 이미지 경로
        alt : 이미지 설명 -- 경로를 잘못 선택했을경우에 나타냄
        width : 가로너비
        heigth : 세로너비

        * 원본비율 유지하기 위해서는 width / height 중 하나만 사용할것!!!
     -->

     <!--
        (1) 상대경로 :
        (2) 절대경로 :
        (3) 인터넷주소 :
        3가지로 이미지를 넣는다!!
      -->

// 상대경로, 절대경로, 인터넷주소를 통해 화면에 나타낼수 있다.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이미지 태그</title>
</head>
<body>
    <h1>상대경로</h1>

    <img src="아이브2.jpg" alt="아이브2 사진" width="300px" height="300px">
    <!-- 
        src : 이미지 경로
        alt : 이미지 설명 -- 경로를 잘못 선택했을경우에 나타냄
        width : 가로너비
        heigth : 세로너비

        * 원본비율 유지하기 위해서는 width / height 중 하나만 사용할것!!!
     -->

     <!-- 
        (1) 상대경로 : 
        (2) 절대경로 :
        (3) 인터넷주소 :
        3가지로 이미지를 넣는다!!
      -->

    <!-- 상대경로 : 현재폴더(DAY02)를 기준으로 자원 경로를 표현하는 방식-->
    <!-- 현재폴더(DAY02) : ./파일명 -->
    <img src="./아이브3.jpg" alt="아이브3사진" width="1000px" >

    <!-- 하위폴더(image) : ./하위폴더명/파일명 -->
    <img src="./image/아이브4.jpg" alt="아이브4사진" width="1000px">

    <!-- 상위폴더(DAY01) : ../상위폴더명/파일명 -->
    <img src="../DAY01/아이브1.jpg" alt="아이브1사진" width="1000px">

    <h1>절대경로</h1>
    <!-- 절대경로 : 현재폴더에 상관없이 디렉토리(/) 기준으로 자원경로를 표현하는 방식 -->
    <img src="C:/Users/user/Desktop/강아지.jpg" alt="강아지사진">

    <h1>인터넷경로</h1>
    <img src="http://cdn.ggilbo.com/news/photo/202304/971390_805599_5450.png" alt="인터넷사진" width="1000px">
</body>
</html>

 

 

이미지 경로 잘못나타낼때 창에 띄어준다(alt)

 

상대경로 , 이미지경로, 인터넷경로등 각자 상황에 맞게 사용 해보자!! (폴더 주의)


[1] 어제 배운 a태그를 통해서 사용해보자(이미지)

// 각이미지 화면을 띄운뒤 클릭을 하면 네이버,다음,구글을 들어갈수 있다!!!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이미지링크</title>
</head>
<body>
    <!-- 
        1. a태그 사용해서 이미지.html화면이동
        2. 이미지 태그를 사용해서 사진 준비하기

     -->
     <p>메롱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</p>
     <br/>
     <a href="../DAY01/아이브1.jpg"><img src="./아이브3.jpg" alt="img태그 준비" width="800px"><br/>페이지 이동</a>
     <br/>
     <a href="https://www.google.com/webhp?hl=ko&sa=X&ved=0ahUKEwjOgvey88j-AhUuplYBHXioByEQPAgI"><img src="C:/Users/user/Desktop/구글.JPG " alt=""></a>
     <a href="https://www.daum.net/"><img src="C:/Users/user/Desktop/다음.JPG " alt=""></a>
     <a href="https://www.naver.com/"><img src="C:/Users/user/Desktop/ㄴ네이버.JPG " alt=""></a>


</body>
</html>

이미지를 띄운 뒤
사진이나 사이트를 들어갈 수 있다


[2] 오디오, 비디오, 유튜브 (실행)

// 기본 오디오코드 사용!!!(cotrols는 꼭 쓰기!!)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오디오실행</title>
</head>
<body>
    <audio src="./media/Pallet Town (Acoustic).mp3" controls>
        브라우저가 지원하지 않을 경우 출력
    </audio>

    <!-- 
        (1) controls : 웹 브라우저에 음원재생을 제어하는 플레이어 생성
        (2) autoplay : 웹 브라우저에 음원을 자동으로 재생
        (3) loop     : 웹 브라우저에서 음원 반복 재생
        (4) volume   : 음원의 볼륨을 설정(0.0 ~ 1.0) 
     -->

    
</body>
</html>

// 기본 비디오코드 사용!!!(cotrols는 꼭 쓰기!!,loop는 반복재생)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비디오 실행</title>
</head>
<body>
    <video src="./media/Coffee - 45358.mp4" width="1000px" controls loop>
        현재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습니다.
    </video>
</body>
</html>

// 기본 유튜브 사용!!!(cotrols는 꼭 쓰기!!)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유튜브</title>
</head>
<body>
    <iframe width="560" height="315" 
    src="https://www.youtube.com/embed/L8SDe4zgBDo" 
    title="YouTube video player" 
    frameborder="0" 
    allow="accelerometer; autoplay; clipboard-write; encrypted-media; gyroscope; picture-in-picture; web-share" 
    allowfullscreen>
    <!-- 링크에서 공유해서 퍼가기 해서 데이터 그대로 넣기 -->
</iframe>
</body>
</html>

 

공유 > 퍼가기 > 코드 복사 붙여넣기

// 위에서 배운거 그대로 전체 써서 복습하기!!!(cotrols는 꼭 쓰기!!)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미디어 정리</title>
</head>
<body>
    <!-- 
        (1) 이미지 : nusplash
        (2) 오디오 : bgmstore
        (3) 비디오 : pixabay
        (4) 유튜브 : youtube
     -->

     <h1>게임을 시작하지</h1>
     <br/>
     <h1>사진</h1>
     <img src="./ai-generated-g017f847a9_1920.jpg" alt="우주"> 
     <br/>
     <h1>오디오!!</h1>
     <audio src="./media/epic-hit-aggressive-logo-142801.mp3" controls></audio>
     <br/>
     <h1>비디오</h1>
     <video src="./media/-120739.mp4" controls loop></video>
     <br/><br/>
     <h1>유튜브~</h1>
     <iframe width="1500" height="1000" 
     src="https://www.youtube.com/embed/cU0JrSAyy7o" 
     title="YouTube video player" frameborder="0" 
     allow="accelerometer; autoplay; clipboard-write; encrypted-media; gyroscope; picture-in-picture; web-share" 
     allowfullscreen>
    </iframe>


</body>
</html>

 


[3] 목록 모양 표현법

//ul 과 ol 로 구분할 수 있다!

//위에 구성안에 중첩으로 쓸수도 있고 type를 지정해서 목록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.

    <!-- 리스트 사용할떄 사용 -->

    <!-- ul과 li는 짝꿍 : 같이 사용해야 한다 -->
    <!-- ul은 부모요소, li는 자식요소 -->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순서가 없는 목록</title>
    
</head>
<body>
    <h1>UL : Undorder List</h1> 

    <li>항목1</li>
    <!-- 리스트 사용할떄 사용 -->

    <!-- ul과 li는 짝꿍 : 같이 사용해야 한다 -->
    <!-- ul은 부모요소, li는 자식요소 -->
    <ul>
        <li>항목2</li>
        <li>항목3</li>
    </ul>

    <hr/>


    <h2>파이썬 웹크롤링을 개발자 양성과정</h2>

    <h3>목록의 모양 변경(circle)</h3>
    <ul type="circle">
        <li>교육기간 : 2023.03.21 ~ 2023.08.22</li>
        <li>교육대상 : 개발자로서의 진출을 희망하는자</li>
        <li>교육시간 : 08:30 ~ 16:50</li>
        <li>교육비용 : 교육비, 교재비 무료</li>
    </ul>
    <hr/>
    <h3>목록의 모양 변경(square)</h3>
    <ul type="square">
        <li>교육기간 : 2023.03.21 ~ 2023.08.22</li>
        <li>교육대상 : 개발자로서의 진출을 희망하는자</li>
        <li>교육시간 : 08:30 ~ 16:50</li>
        <li>교육비용 : 교육비, 교재비 무료</li>
    </ul>
    <hr/>
    <h3>목록의 모양 변경(disc)</h3>
    <ul type="disc">
        <li>교육기간 : 2023.03.21 ~ 2023.08.22</li>
        <li>교육대상 : 개발자로서의 진출을 희망하는자</li>
        <li>교육시간 : 08:30 ~ 16:50</li>
        <li>교육비용 : 교육비, 교재비 무료</li>
    </ul>
    <hr/>
    <h3>목록의 모양 변경(s)</h3>
    <ul type="disc">
        <li>교육기간 : 2023.03.21 ~ 2023.08.22</li>
        <li>교육대상 : 개발자로서의 진출을 희망하는자</li>
        <li>교육시간 : 08:30 ~ 16:50</li>
        <li>교육비용 : 교육비, 교재비 무료</li>
    </ul>
</body>
</html>

// 사용한것들 <p> <li><ul><ol>

목록을 각 모양 변경의 기본을 알아보았다!!

// 응용을해서 순서가 있는 목록을 해보겠다 

// 간단히 생각해보자 먼저 변경할 list의 type변경하고 순서는 start=" _ "로 지정해서 나타내준다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순서가 있는 목록</title>
</head>
<body>
    <h1>OL : Ordered List</h1>
    <li>항목</li>
    <hr/>
    <ol>
        <li>항목</li>
        <li>항목</li>
        <li>항목</li>
    </ol>
    <!-- 순서를 따로 지정 안됨 -->

    <h3>목록의 모양 변경(type="1")</h3>
    <ol type="1" start="10">
        <li>교육기간 : 2023.03.21 ~ 2023.08.22</li>
        <li>교육대상 : 개발자로서의 진출을 희망하는자</li>
        <li>교육시간 : 08:30 ~ 16:50</li>
        <li>교육비용 : 교육비, 교재비 무료</li>
    </ol>
    <!-- 시작하는 숫자 지정가능 (start)-->
    <hr/>
    <h3>목록의 모양 변경(type="A")</h3>
    <ol type="A">
        <li>교육기간 : 2023.03.21 ~ 2023.08.22</li>
        <li>교육대상 : 개발자로서의 진출을 희망하는자</li>
        <li>교육시간 : 08:30 ~ 16:50</li>
        <li>교육비용 : 교육비, 교재비 무료</li>
    </ol>
    <hr/>
    <h3>목록의 모양 변경(type="a")</h3>
    <ol type="a">
        <li>교육기간 : 2023.03.21 ~ 2023.08.22</li>
        <li>교육대상 : 개발자로서의 진출을 희망하는자</li>
        <li>교육시간 : 08:30 ~ 16:50</li>
        <li>교육비용 : 교육비, 교재비 무료</li>
    </ol>
    <hr/>
    <h3>목록의 모양 변경(type="I")</h3>
    <ol type="I">
        <li>교육기간 : 2023.03.21 ~ 2023.08.22</li>
        <li>교육대상 : 개발자로서의 진출을 희망하는자</li>
        <li>교육시간 : 08:30 ~ 16:50</li>
        <li>교육비용 : 교육비, 교재비 무료</li>
    </ol>
    <hr/>
    <h3>목록의 모양 변경(type="i")</h3>
    <ol type="i">
        <li>교육기간 : 2023.03.21 ~ 2023.08.22</li>
        <li>교육대상 : 개발자로서의 진출을 희망하는자</li>
        <li>교육시간 : 08:30 ~ 16:50</li>
        <li>교육비용 : 교육비, 교재비 무료</li>
    </ol>

</body>
</html>

목차별로 순서가 바뀐걸 볼수 있다!!

//그럼 위에 배운걸 다시한번 복습해보자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목록 예제</title>
</head>
<body>
    <h1>ol과 ul의 사용</h1>
<ol type="1">
    <li>일차</li>
    <ol type="A">
        <li>HTML이란?</li>
        <li>HTML의 기본구조</li>
    </ol>
    <li>일차</li>
    <ol type="a" start="2">
        <li>스타일 적용</li>
        <li>a태그 사용</li>
        <li>이미지 넣기</li>
    </ol>
    <li>일차</li>
    <ol type="I" start="3">
        <li>미디어 사용</li>
        <li>ol과 ul을 사용한 예제</li>
    </ol>
</ol>
    <hr/>

    <h1>신입 사원 모집 공고</h1>
<p>IT기획, 개발 부서에서 함께 할 신입 사원을 모집합니다.</p>
    <ul>
        <li>모집 직군 : 웹개발, 응용프로그래밍</li>
        <li>직무 내용 : 스프링, 자바를 사용한 웹개발(신입도 지원가능)</li>
        <ul type="circle">
            <li>개발회의</li>
            <li>프로젝트 참여</li>
        </ul>
        <li>접수 마감일 : 2023.08.28</li>
    </ul>
<p>자세한 내용은 공지게시판을 참고해주세요.</p>
</body>
</html>

응용해서 한페이지를 작성해 보았다!!!


[4] 메뉴 버튼 표현법

// 먼저 메뉴버튼을 나타내기전에 가로세로 너비와 블록과 인라인의 개념을 알고 있어야한다

        li{
            /*배경색*/ background-color: pink;
            /*글자색*/ color: aqua;
            /*가로너비*/ width: 120px;
            /*세로너비*/ height: 40px;
            /*요소 세로 정렬*/ line-height: 40px;
            /*요소 가로 정렬*/ text-align: center;
            /*글자크기*/ font-size:  15px;
            /*모서리*/ border-radius: 10px;
            /*한줄정렬*/ display: inline-block;
            margin: 30px;
        }

// 기본적인 구성이니 알아두는것이 좋을 것 같다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
    <style>
        li{
            /*배경색*/ background-color: pink;
            /*글자색*/ color: aqua;
            /*가로너비*/ width: 120px;
            /*세로너비*/ height: 40px;
            /*요소 세로 정렬*/ line-height: 40px;
            /*요소 가로 정렬*/ text-align: center;
            /*글자크기*/ font-size:  15px;
            /*모서리*/ border-radius: 10px;
            /*한줄정렬*/ display: inline-block;
            margin: 30px;
        }

        /* li요소에 마우스를 올렸을때!! */
        li:hover{
            background-color: hotpink;
            font-weight: bold;
            font-size: 20px;
           
        }
    </style>
    
    <title>리스트 메뉴</title>
</head>

<body>
    <ul>
        <a href="https://www.naver.com/"><li>NAVER</li></a>
        <a href="https://www.google.com/webhp?hl=ko&sa=X&ved=0ahUKEwjOgvey88j-AhUuplYBHXioByEQPAgI"><li>Google</li></a>
        <a href="https://www.daum.net/"><li>Daum</li></a>
        <a href="https://www.youtube.com/"><li>YouTube</li></a>
        
    </ul>
</body>
</html>

//ul안에 > a태그 > li 순으로 기억 할것!!!

//기억할것 a태그안에 list를 넣을것!!!

//li: hover{} 스타일 중 하나인 부분 마우스를 버튼으로 갔다대면 색깔과 크기가 변한다

ㅎㅎㅎ 이것이 버튼이다~! 마우스 갔다대면 크기랑 색깔이 변한당!


[5] 매핑과 패딩에 대해 알기!!! 

    <!--
        (1) margin : 요소의 외부 여백을 지정하는  속성
        - 0 : 외부 여백 없음
        - auto : 브라우저가 여백을 계산(가운데 정렬 활용)
        - 단위 : px, em, vw등(음수 사용 가능)

        (2) padding : 요소의 내부 여백을 지정하는 속성
        - 0 : 내부 여백 없음
        - % : 부모 요소의 가로 너비에 대한 비율로 지정
        - 단위 : px, em, vw등(음수 사용 가능)
     -->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style>

        p{
            background-color: skyblue;
            border : solid 3px blue;

        }
        .mp1{
            background-color: slateblue;
            border:  solid 3px purple;
            margin: 10px;
            padding: 0px;
        }
        .mp2{
            background-color: green;
            border:  solid 3px springgreen;
            margin: 20px;
            padding:20px;
        }
        .mp3{
            background-color: lemonchiffon;
            border:  solid 3px yellow;
            margin: 10px 20px 30px 40px;
        }
        .mp4{
            background-color: tan;
            border:  solid 3px powderblue;
            padding: 10px 20px 30px 40px;
        }
        .mp5{
            background-color: salmon;
            border:  solid 3px aqua;
            padding:  0px 0px 30px 0px;
            /* 위(top) 오른쪽(right) 아래(bottom) 왼쪽(left)*/
            padding-bottom: 30px;
        }

    </style>
    
    
    <title>margin과 padding</title>
</head>
<body>
    <!-- 
        (1) margin : 요소의 외부 여백을 지정하는  속성
        - 0 : 외부 여백 없음
        - auto : 브라우저가 여백을 계산(가운데 정렬 활용)
        - 단위 : px, em, vw등(음수 사용 가능)

        (2) padding : 요소의 내부 여백을 지정하는 속성
        - 0 : 내부 여백 없음
        - % : 부모 요소의 가로 너비에 대한 비율로 지정
        - 단위 : px, em, vw등(음수 사용 가능)
     -->
     <p>background-color : "skyblue";<br/>
    border : solid 3px blue;</p>

    <p class="mp1"> margin : 10px; padding: 0px;</p>
    <p class="mp2"> margin : 20px; padding: 20px;</p>
    <p class="mp3"> margin : 10px 20px 30px 40px;</p>
    <p class="mp4"> padding: 10px 20px 30px 40px;</p>
    <p class="mp5"> padding: 아래 30만 적용</p>
</body>
</html>

매핑과 패딩에 따라 가로세로 크기를 변형 시킬 수 있다.
F12를 통해 보다 정확한 매핑과 패딩을 이해하고 쓸 수 있다!


[6] 색깔에 대해 알기!!! (255, 255, 255) RGB 

    <!--
        - HSLA 표현
        H : 색조(Hue)
        S : 채도(Saturation)
        L : 밝기(Lightness / Luminance)
        A : 알파값
    -->
 <!-- 알파값은 0부터 1까지 16.777.216 총 색상의 수  -->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style>
        div{
            width: 400px;
            height: 100px;
            line-height: 100px;
            text-align: center;
            margin: 15px;
            color: white;
            
            display: inline-block;
        }

        p{
            height: 100px;
            line-height: 100px;
            text-align: center;
            margin: 15px;
            color: white;     
        }


    </style>
    <title>색상(Color)</title>
</head>
<body>
    <h1>컬러의 종류</h1>

    <h2>HTML의 140개의 컬러이름을 지원한다.</h2>
    <div style="background-color: tomato;">tomato</div>
    <div style="background-color: orange;">orange</div>
    <div style="background-color: dodgerblue;">dodgerblue</div>
    <div style="background-color: mediumspringgreen;">mediumspringgreen</div>
    <div style="background-color: gray;">gray</div>
    <div style="background-color: slateblue;">lateblue</div>
    <div style="background-color: violet;">violet</div>
    <div style="background-color: lightgray;">lightgray</div>

    <a href="https://www.w3schools.com">w3schools 사이트</a>></a>

    <h2>HTML의 color는 RGB(Red, Green, Blue)를 사용하는 빛의 삼원색</h2>
    <!-- RGB : 0부터 255까지 총 256가지 색을 조합해서 만든다. -->

    <p style="background-color: red;">Color Name</p>
    <p style="background-color: rgb(255,0,0);">rgb(255,0,0)</p>
    <p style="background-color: rgb(0,255,0);">rgb(0,255,0)</p>
    <p style="background-color: rgb(0,0,255);">rgb(0,0,255)</p>
    <p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000;">Number(16진수)</p>

    <h2>HTML 색상의 알파값 추가</h2>
    <p style="background-color: rgb(0,150,0);">rgb(0,150,0)</p>
    <p style="background-color: rgb(0,150,0, 0.7);">rgba(0,150,0, 0.7)</p>
    <p style="background-color: rgb(0,150,0, 0.4);">rgba(0,150,0, 0.4)</p>
    <p style="background-color: rgb(0,150,0, 0.1);">rgba(0,150,0, 0.1)</p>
    <!-- 알파값은 0부터 1까지 16.777.216 총 색상의 수  -->

    <!-- 
        - HSLA 표현
        H : 색조(Hue)
        S : 채도(Saturation)
        L : 밝기(Lightness / Luminance)
        A : 알파값
    -->
</body>
</html>